프로젝트마다 필요한 라이브러리(패키지) 버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, 프로젝트별로 독립된 개발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를 가상 환경이라고 부릅니다.
프로젝트 폴더 생성: 원하는 위치에 프로젝트를 진행할 폴더를 만드세요.
VS Code에서 폴더 열기: VS Code를 실행하고 파일 > 폴더 열기
를 통해 방금 만든 프로젝트 폴더를 열어주세요.
터미널 열기: VS Code 상단 메뉴에서 터미널 > 새 터미널
을 선택하여 터미널을 엽니다. (단축키: Ctrl
+ ```)
가상 환경 생성: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venv
라는 이름의 가상 환경을 만듭니다. venv
는 폴더 이름이며, 다른 이름으로 변경해도 괜찮습니다.
python -m venv venv
가상 환경 활성화: 생성한 가상 환경을 사용하도록 설정합니다. 운영체제에 맞는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세요.
.\\venv\\Scripts\\activate
source venv/bin/activate
활성화에 성공하면 터미널 프롬프트 맨 앞에 (venv)
가 표시됩니다. 이제부터 설치하는 모든 파이썬 패키지는 이 가상 환경 안에만 설치됩니다.
가상 환경이 활성화된 터미널에서 FastAPI 서버 개발에 꼭 필요한 두 가지 라이브러리를 설치합니다.
pip install fastapi uvicorn
VS Code 왼쪽 사이드바에서 네모 모양의 '확장' 아이콘을 클릭한 뒤, 아래 플러그인들을 검색하여 설치하면 개발 효율이 크게 올라갑니다.
Python
플러그인을 설치하면 보통 함께 설치됩니다. 더 빠르고 정확한 코드 분석, 자동 완성, 타입 검사 기능을 제공하여 생산성을 크게 높여줍니다.